-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세포주를 이용한 군소 다당류와 Glycosaminoglycan의 기능성 검색 군소에서 정제한 GAG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NO 생성량, TNF- $\alpha$ , IL-6 생성량을 증가시켜 면역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100{\mu}g$ /mL 농도에서 배양 72시간 후 약 40%에 가까운 위암세포(AGS)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정상세포 IEC-6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면역조절을 위한 기능성식품 혹은 위암 치료제로서 군소의 당 추출물과 GAG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홍유미,박시향,윤보영,최병대,최영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2.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구조 특성 군소에서 추출한 다당류로부터 DEAE-Sepharose 상에서 glycosaminoglycan(GAG)을 정제하여 기능기의 분포, 구성당의 분포, 이당류의 조성과 당 구조를 조사하였다. 정제한 GAG는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이당류 단위가 전체 구성물 중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다당 복합체였다. 정제한 GAG는 1648 $cm^{-1}$ 에서 amide I의 특징적인 띠와 1457$cm^{-1}$ 에서 C-O stretch,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의 특징, 866$cm^{-1}$ 에서 단당류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한 GAG는 fucose, N-acetylgalactosamine, N-acetylglucosamine, glucose, galactose, 미량의 mannose와 xylose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에서 N-acetylgalactosamine, N-acetylglucosamine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다당 복합체인 heparan sulfat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군소 GAG는 단백질핵의 threonine 잔기에 O-연결된 GlyUA(2S)-GlcNS와 GlyUA-GlcNS(6S)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윤보영,최병대,배동원,최영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군소 (Aplysia kurodai)의 중추신경계로부터 myomodulin A와 E의 정제 군소의 중추신경계로부터 myomodulin A (MMA)과 myomodlin E (MME)의 정제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500마리 군소의 중추신경계를 산조건으로 추출한 후 4종류의 HPLC column system에 적용하여 두가지 신경성 펩타이드를 정제하였다. HPLC 분리과정에서 얻어진 모든 분획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bioassay system으로 진주담치 (Mytilis edulis)의 ABRM을 이용하였다. 최종 정제된 신경성 펩타이드는 Edman 분해법을 이용한 아미노산 서열 분석기, 질량분석기와 화학합성을 통해 완전한 일차구조를 밝힐 수 있었다. 정제한 MMA와 MME의 일차구조는 각각 Pro-Met-Ser-Met-Leu-Arg-Leu- $NH_2$ , (847.41 Da) 과 Gly-Leu-Gln-Met-Leu-Arg-Leu-$NH_2$ , (830.50Da) 이었다. 또한 이들 합성 펩타이드는 진주담치의 ABRM에 대해 phasic contration의 조절활성을 나타내었다.김찬희,서해점,황은영,김은정,고혜진,김인혜,서정길,문정혜,허민도,박남규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해양 생물에서 분리된 Phaeobacter inhibens KJ-2의 항균 활성 본 연구는 양식업에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시키는 세균성 어류질병인 Vibrio anguillarum을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군소 알로부터 특징적인 균주를 분리 하였다. 이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균을 동정하여 Phaeobacter inhibens KJ-2로 명명하였다. Phaeobacter inhibens KJ-2 균주는 Vibrio sp.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갖고 있으며, 항균물질의 생산특성을 배양조건에 따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진탕 배양의 경우 $20^{\circ}C$ 에서 24시간 배양 후, 정치 배양의 경우 96시간 배양 후 항균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탕 배양 및 정치 배양 모두 4시간 후부터 생육도는 낮았으나 항균 물질 생산을 시작하였다. 생육도가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항균물질이 생산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QS (Quorum Sensing)의 신호 물질인 AHLs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되며, AHLs의 생성능은 항균 활성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배양특성을 바탕으로 항균 활성을 검토한 결과 V. anguillarum외 다른 Vibrio sp.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Vibrio vulnificus, Vibrio campbellii, Vibrio mimicus에 대해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김윤범,김동휘,허문수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군소(Aplysia kurodai) 색소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성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yed hair with extract form Aplysia kurodai. As the result, the color difference and K/S value of dyed hair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color difference of hair dyed at pH treatment condition was the highest at pH 5 and remained constant at higher pH. The K/S value was the highest at 45oC for 40 min and pH 5. The color of hair dyed in non - mordant treatment was red and purplish red. The color of dyed hair treated with mordants Al, Cu, F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ord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yes extracted from Aplysia kurodai may be developed as a natural dye for hair. 문승재,나명석 한국미용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2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군소의 점액질 추출방법 1020180127967 주식회사 바이오원 원문정보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1020120046878 박시향 원문정보 군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17005149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망막세포 재생효과를 갖는 군소 추출물의 용도 10201501250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군소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1020120004561 장문식|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Aplysia kurodai 군소 경상남도 식용,약용,문화용 봄에 미역을 딸 때 파래가 있는 곳에서 군소를 잡는데, 삶고 썰어서 초장에 먹으면 맛이 좋고, 몸 보신용으로도 좋다.
여름에 바닷가로 군소를 잡으러 가면 여러 마리가 모여 있는데, 군소를 잡아다가 삶아서 먹는다.
바다에서 잡은 군소는 내장을 제거하고 돌에 비벼서 끈적한 것을 없앤 다음 삶아서 초장에 찍어 먹는다.
바닷가에서 잡은 군소를 산적으로 요리해서 제사음식으로 올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