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바다선인장

바다선인장Cavernularia obesa Milne Edwards & Haime, 185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nidaria자포동물문 > Anthozoa산호충강 > Pennatulacea해세목 > Veretillidae바다선인장과 > Cavernularia바다선인장속 >
  • 종설명(Description)

    •   수심 20~30m의 펄 섞인 모래 바닥에 병부를 파묻고 산다. 병부를 이용해 몸 전체를 감출 수 있다. 개체수가 많지 않은 종이다.
      [1]

    •   몸은 원통형으로 곤봉 모양이며 골축이 없다. 폴립은 몸에 산재하며 악부(calyx)와 폴립초(polyp sheath)가 없고 공육(coenosarc) 속으로 완전히 들어간다. 관상개충은 통상개충들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살아 있을 때에는 연한 미색이다. 몸은 약 10cm 정도, 간부는 약 7cm 정도, 병부의 지름은 2cm 정도이다.
      [1]

    •   일본, 하와이
      [1]

    •   남해안(거문도, 통영)
      [1]

    • 출처

      [1]. 송준임, 2014. 한국동식물도감 제 39권 동물편(산호충류). 교육인적자원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43pp.

    • [2]. 송준임, 2014. 한국동식물도감 제 39권 동물편(산호충류). 교육인적자원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43p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3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7건, 1/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11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다선인장
      Cavernularia obesa
      대한민국 2011-10-09
      MABIK CN0007116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다선인장
      Cavernularia obesa
      대한민국 2012-07-19
      MABIK CN0007779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다선인장
      Cavernularia obesa
      대한민국 2013-11-03
      MABIK CN0007956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다선인장
      Cavernularia obesa
      대한민국 1981-08-20
      MABIK CN000795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다선인장
      Cavernularia obesa
      대한민국 1981-08-2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