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바다선인장Cavernularia obesa Milne Edwards & Haime, 1850
수심 20~30m의 펄 섞인 모래 바닥에 병부를 파묻고 산다. 병부를 이용해 몸 전체를 감출 수 있다. 개체수가 많지 않은 종이다.
[1]
몸은 원통형으로 곤봉 모양이며 골축이 없다. 폴립은 몸에 산재하며 악부(calyx)와 폴립초(polyp sheath)가 없고 공육(coenosarc) 속으로 완전히 들어간다. 관상개충은 통상개충들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살아 있을 때에는 연한 미색이다. 몸은 약 10cm 정도, 간부는 약 7cm 정도, 병부의 지름은 2cm 정도이다.
[1]
일본, 하와이
[1]
남해안(거문도, 통영)
[1]
출처
[1]. 송준임, 2014. 한국동식물도감 제 39권 동물편(산호충류). 교육인적자원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43pp.
[2]. 송준임, 2014. 한국동식물도감 제 39권 동물편(산호충류). 교육인적자원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43pp.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2 | 2 | 3 | 2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2 | 3 |
NCBI (Cavernularia obes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